모차르트의 레퀴엠을 듣는 날
Requiem(레퀴엠).
레퀴엠은 죽은 이의 넋을 달래는 진혼곡이며 라틴어로는 '안식'을 뜻합니다.
세상의 수많은 음악들 중에 레퀴엠을 굳이 찾아들을 이유나 기회가 있는 걸까요?
모차르트의 삶과 음악을 다룬 영화 '아마데우스' 를 보고 나면 레퀴엠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이전과 또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천재음악가, 천재작곡가 모차르트는 부유하게 살지도, 많은 것을 누리며 살지도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의 삶은 시간이 흘러갈수록 빚에 쪼들리며 쫓기듯 곡을 써야 했고, 연주를 해야했으며 결국은 안타깝고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했다고 합니다.
모차르트의 레퀴엠 또한 그러했습니다. 생활고에 시달리던 그가 파격적인 금액을 조건으로 정체불명의 백작으로부터 의뢰받은 레퀴엠 작업은, 다른 작품을 먼저 쓰는 데 밀려서 더디게 진행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죽은 이의 넋을 달래기 위해' 쓰는 그 곡이 점차 모차르트를 더욱 쇠약하게 만들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요.
레퀴엠을 완성하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하게 되지만, 그는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곡을 써내려갑니다.
영화 '아마데우스' 중에서 모차르트가 기력이 너무나 쇠하여 살리에리의 도움을 받아 작곡을
이어나가는 모습과 그 과정이 저에게는 잊지못할 장면으로 남았답니다.
사실 그 외에도 몇 장면이 더 있는데요, 모차르트의 특정 곡들을 들을 때면 항상 그 장면들을
떠올리곤 합니다.
아래 영상은 모차르트가 레퀴엠 중 "콘푸타티스(악한 자들이 혼란스러울 때)"를 작곡하는 장면입니다. 영화에서는 모차르트의 천재성을 시샘하면서도 흠모하는 작곡가 살리에리의 도움으로 곡을 쓰게 되는데요, 실제로는 제자의 도움을 받아서 완성했다고 합니다.